태풍 피해, 이렇게 막자!
태풍은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자연재해입니다. 하지만 철저한 대비와 신속한 대처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들을 알려드릴게요.
1. 태풍 오기 전, 미리 대비해요! (예비특보 단계)
태풍이 오기 전에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기상 정보 확인은 필수!
- TV, 라디오, 인터넷, 스마트폰 앱(안전디딤돌 앱, 기상청 앱 등)을 통해 태풍의 진로, 도착 시간, 예상 강수량 등 최신 정보를 계속 확인하세요.
- 재난 문자를 놓치지 않고, 가족이나 이웃과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.
우리 집 주변 위험 요소 점검!
- 집 주변 하수구나 배수구가 막힌 곳은 없는지 미리 확인하고 뚫어주세요.
- 창문, 출입문은 단단히 닫고, 강풍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면 유리창에 X자로 테이프를 붙여 파편이 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.
- 간판, 화분, 자전거 등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은 실내로 옮기거나 단단히 고정해야 합니다.
- 지하 주차장이나 저지대 주택은 모래주머니나 물막이 판 등으로 침수에 대비하고, 지하에 사시는 분들은 대피를 준비해주세요.
비상용품은 미리 준비!
- 정전이나 고립에 대비해 손전등, 비상식량, 식수, 구급약, 라디오, 휴대폰 보조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두세요.
- 욕조에 물을 받아두면 상수도 공급이 끊겼을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.
차량은 안전한 곳으로!
- 하천변이나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침수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안전한 높은 곳으로 옮겨두세요.
농가와 어가도 점검!
- 농경지 용수로와 배수로, 논둑을 미리 정비하고 물꼬를 조절합니다.
- 선박은 단단히 묶거나 육지로 옮기고, 어망이나 어구 등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합니다.
2. 태풍이 올 때, 이렇게 행동해요! (태풍 특보 중)
태풍이 내습하고 있을 때는 무조건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외부 활동을 삼가야 합니다.
외출은 절대 금지!
- 불필요한 외출은 삼가고, 집 안에서 기상 상황과 재난 정보를 계속 확인하며 안전하게 머무르세요.
위험한 곳은 절대 가지 마세요!
- 침수된 도로, 지하차도, 교량 등은 절대 지나가지 마세요. 물에 잠긴 정도를 알 수 없고 급류에 휩쓸릴 위험이 큽니다.
- 산간 계곡, 하천변, 해안가 등 급류 위험 지역에는 접근하지 마세요. 등산, 낚시 등 야외 활동은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.
- 공사장, 전신주, 변압기, 비탈면, 옹벽, 축대, 지하 맨홀 주변은 감전이나 붕괴 위험이 있으니 가까이 가지 마세요.
운전 중이라면?
-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바람이 너무 강하게 분다면 즉시 감속하고, 안전한 곳에 잠시 정차하여 태풍이 잠잠해지기를 기다리세요.
대피하세요!
- 대피 명령이 내려지면 즉시 따르고,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 차단기를 내린 후 대피하세요.
- 어르신, 어린이, 장애인 등 도움이 필요한 주변 사람들과 함께 대피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.
- 산사태 위험 지역에 계신다면, 산사태 징후(흙탕물, 땅 울림 등)가 보이면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세요.
감전과 안전사고 주의!
- 물에 젖은 손으로 절대 전기 스위치나 제품을 만지지 마세요. 정전 시에는 양초 대신 손전등을 사용해야 합니다.
- 물에 떠내려가는 물건을 건지려고 시도하지 마세요. 매우 위험합니다.
3. 태풍 지나간 후, 침착하게 대처해요!
태풍이 지나갔다고 바로 안심하면 안 됩니다. 2차 피해 예방과 복구를 위해 침착하게 대처해야 합니다.
귀가 전 안전 확인은 필수!
- 파손된 도로, 교량, 건물 등 위험한 곳은 절대 접근하지 마세요. 안전이 확보된 후에 귀가해야 합니다.
- 침수된 주택은 바로 들어가지 말고, 전문가의 안전 점검을 받은 후에 진입해야 합니다.
전기/가스 안전 확인!
- 끊어진 전선이나 쓰러진 전봇대를 발견하면 절대 만지지 말고 한국전력공사(국번 없이 123)에 신고하세요.
- 침수된 건물은 가스 누출 위험이 있으니, 충분히 환기한 후 가스 냄새가 나지 않을 때까지 성냥이나 라이터를 사용하지 마세요. 가스 냄새가 나면 도시가스 서비스센터나 LPG 판매점에 연락해야 합니다.
위생 관리 철저히!
- 침수된 지역은 세균 오염이 심할 수 있으니, 청소 시 반드시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소독을 철저히 해주세요.
피해 신고 및 복구!
- 피해 상황은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기록해두고, 해당 지자체에 신고하여 도움을 받으세요.
- 가입한 보험이 있다면 보험사에 연락하여 피해보상을 신청합니다.
- 복구 작업에 참여할 때는 반드시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, 전문가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
태풍으로부터 우리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이 행동 요령들을 꼭 기억하고 실천해주세요!